본문 바로가기

금리인상2

미국 연준은 동물원? 비둘기파, 매파의 의미 우리는 현재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이라는 역사적인 순간에 서 있습니다. FOMC 회의에서 금리인상 관련 연설(뉴스)가 있을때마다 비둘기파 발언, 매파 발언 같은 용어 자주 보셨죠? 이 것은 미국 FOMC 의원들을 지칭하는 표현인데요. 과연 이 단어들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더보기 목차 1. 비둘기파: 금리 인상 살살 하자 2. 매파 : 금리 인상 강하게 하자 비둘기파(Dove) : 금리 인상 살살 하자 비둘기파는 바로 금리 인상을 서서히 하던가 낮추자는 주장을 하는 미국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의원들을 지칭하는 표현입니다. 이들이 연설을 하면 바로 '비둘기파적인 발언' 으로 표현하며 전세계 주식 투자자들이 안심을하여 주가가 폭등하기 시작합니.. 2023. 1. 7.
25bp 50bp 금리인상에서 'bp'의 뜻, 의미 요즘 뉴스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단어죠. 금리 '25bp' 인상, 금리 '50bp' 인상. 바로 금리인상 비율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bp(basis poin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bp' 단위 계산법 2. 'bp' 단위의 유례 bp = basis point (베이시스 포인트) 계산법 bp는 바로 basis point의 줄임말입니다. 뜻은 바로 소수점 이하(만분율) 라는 뜻입니다. 금리 1% 상승에서 1%를 bp로 변환하면 100bp가 됩니다. 그러므로 1bp는 바로 0.01%를 의미하죠. 다시 정리하자면 1%=100bp, 0.01%=1bp 입니다. 아직 헷갈리신다고요? 보다 많은 예시로 다시 알아보겠습니다. % bp 0.01% 1bp 0.1% 10bp 1% 100bp 0.25% 25bp 0.. 2022. 12. 27.